날로 줄어들고 있는 농촌지역 인구와는 반대로 요즘 젊은 세대의 귀농 또는 귀촌이 늘고 있다고 하는데요..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귀농과 귀촌
비슷한 단어 같지만 의미의 차이가 있는 귀농, 귀촌의 정의는 이렇습니다.
귀농(농업 경영체 등록): 농어촌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는 농어업인이 아닌 사람이 농업인이 되기 위해 농촌지역으로 이주하는 경우(농업인은 대통령령으로 정합니다.)
귀촌(전입신고 까지): 농어촌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는 농어업인이 아닌 사람이 농어촌 지역에 거주목적으로 이주하는 경우
* 대상: 농어촌 외의 지역에서 1년 이상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
청년들의 귀농 선호
2030의 젊은 세대가 귀농 또는 귀촌을 선호하는 현상은 통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요. 특히 30대 이하 응답자 중 귀농의 이유를 ‘농업의 비전과 발전가능성’이라는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다고 합니다.
[귀농 가구 추이]
연도 | 2020 | 2021 |
귀농 가구 수 | 1,362 | 1,507 |
이 중 2030 비중이 43.2% 차지
정부 지자체 지원 프로그램
정부는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을 기존 551억 원에서 943억 원으로 확대하였으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청년농업인 선발인원도 4,000명에서 5,000명으로 확대하였습니다.
지자체 역시 지역마다 임대주택을 저가 또는 무료로 지원해 주는 등 청년들의 유입과 정착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니 아래 지원 내용을 참고하면 좋겠습니다.
1. 청년후계농 영농정착 지원사업
청년 농업인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 창업자금과 정착지원금을 지원받을 수 있고 영농기술 교육과 컨설팅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18세 이상 ~ 40세 미만 / 독립경영 3년 이하(예비농업인 포함)
- 혜택
. 창업자금: 세대당 최대 5억 원을 연 금리 1.5%로 5년 거치 20년 균등분할상환 가능
. 영농정착 지원금: 최장 3년간 연차별 차등 지원(1년차 110만 원/2년차 100만 원/3년차 90만 원)_사용처는 일반가계자금과 영농자금으로 제한됩니다.
2. 청년여성 농업농촌탐색 사업
청년 여성 대상으로 농업과 농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관련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입니다.
- 대상: 19세 이상 ~ 39세 이하 여성
- 혜택
. 귀농 귀촌 단계 이전에 청년 여성의 농촌 탐방 또는 교류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관련 교육비는 일반적으로 100% 국고 지원됩니다. 프로그램은 약 1~2주 정도 진행되며 농업 외 다양한 진로 체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3.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
스마트팜의 기술을 습득해서 취업 또는 창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대상: 19세 이상 ~ 39세 이하 청년(재학생, 취업자도 의무교육 이수 시 신청가능)
혜택
- 교육수강료 국비 지원(무료)
- 교육형 및 경영형 실습비 지원(월 70만 원 한도)
- 임대 및 자기 온실 경영형 실습 재료비 지원(연간 360만 원 한도)
청년들을 위한 귀농.귀촌 관련 사이트
대한민국 귀농·귀촌 포털 그린대로
대한민국 귀농귀촌 대표 포털 그린대로
귀농 귀촌을 준비에서 정착까지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나를 위한 내손안의 귀농귀촌 온라인 비서 ‘그린대로’입니다.
www.greendaero.go.kr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https://www.epis.or.kr/main/view
농림사업정보시스템
농림사업정보시스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쌀소득, 밭농업, 조건불리지역 직접지불제 정보열람 - 농림사업에 대한 모든 것 AgriX가 도와드립니다.
uni.agrix.go.kr
'상품 & 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Ai, 비디오 생성 Ai 'SORA' 특징과 활용 (1) | 2024.02.19 |
---|---|
HBM 뜻과 특징, 관련주 대장주 소개 (0) | 2024.02.15 |
태풍'카눈' 수혜복구 관련 주 (0) | 2023.08.08 |
온라인 게임의 변천사, 앞으론 어떤 게임이 생길까 (0) | 2023.04.30 |
1차전지와 2차전지의 차이 (0) | 2023.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