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온라인 사업23 가상자산업법 논의, 암호화폐 호재 될까 국회에서 논의 중인 가상자산업법이 내용이 구체화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가상자산에 대해서 지금까지 정부는 가상자산을 금융자산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가상자산 거래를 통해 얻은 차익에 대해 부과하는 세율 20%도 금융소득이 아닌 복권과 같은 '기타 소득'으로 분류하고 있지요. 국회와 정부의 입장이 다른 가운데 현재 논의되고 있는 내용에 대해 알아봅니다. 가상자산업법의 의의 가상자산(암호화폐 등)의 부정거래 시 처벌을 담은 '가상자산업법' 제정 논의가 활발합니다. 그동안 가상화폐는 공식적인 금융자산으로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때문에 가상자산 투자 시 발생하는 모든 책임은 개인이 감당해야만 했습니다. 보통 주식(금융자산)의 경우 발행 주체의 의무가 있고 작전 .. 2021. 12. 14. NFT에 대해 NFT 최근 언론에 많이 등장하는 단어입니다. 주로 NFT거래 플랫폼을 통해서 “디지털 작품이 얼마에 팔렸다더라 “라는 기사를 많이 접했을 겁니다. 우리가 아는 상식으론 디지털 파일은 무한 복제가 가능한데 비싼 값에 거래가 되다니. 그 이유는 바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서 디지털 파일을 이 세상에 단 하나뿐인 원본으로 만들어 주는 NFT가 있어 가능했습니다. NFT 개념 NFT(Non Fungible Token) 를 직역하면 ‘대체 불가능한 토큰’으로 NFT는 디지털 파일의 ‘권리 증명서’라고 이해하면 좋을 듯합니다. 블록체인은 NFT정보를 기록한 온라인 등기소가 될 겁니다. 부동산 거래를 위해서는 등기소에서 부동산등기부 등본을 발부받아 소유권자를 확인하듯이 디지털 파일에 대한 소유권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2021. 12. 9. [메타버스] 2022년 메타버스 경제에 주목하라 대한민국 경제를 지탱하는 주력 산업은 역시 반도체, 자동차, 조선, 가전 등 제조업이 주력입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사이버 경제에 관심을 가져야 할 듯합니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2022년을 이끌 신산업에 대해 알아봅니다. ▒ 메타버스 왜 메타버스인가 우리는 왜 가상현실인 메타버스에 열광하는 걸까요? 단지 사이버 상에서 가상의 캐릭터를 꾸미고 게임하거나 소통하는 도구일 뿐인데 말이죠. 기존에도 이러한 서비스는 많았죠. 하지만 메타버스가 기존 서비스와 차별되는 한가지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메타버스는 돈이 된다'가 아닐까요? 현재 우리가 가장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온라인 서비스는 Youtube 입니다. 처음 Youtube가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양질의 콘텐츠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1. 11. 21. 1인 크리에이터(컨텐츠 창작자)에 주목하라. 지금 바로 크리에이터(Creator)의 삶을 시작하세요. '유튜브'로 대표되는 공유 콘텐츠의 세계(platform)는 우리에게 이미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인들도 컨텐츠로 돈을 벌 수 있는 시대가 본격화된 것이죠. '유튜브' 전에는 블로그나 카페 등을 통해 수익을 만들어내는 뛰어난(?)분들도 많았지만 직장 월급을 대신할 정도의 돈을 벌 수 있게 된 것은 역시 '유튜브'를 통해서 인 듯합니다. 우리 앞엔 이미 직장을 다니지 않고도 크리에이터로 살아갈 수 있는 시대가 펼쳐지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 나라의 IT 양대 산맥인 '네이버'와 '카카오'도 자사 플랫폼의 경쟁력을 위해서 다양한 컨텐츠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서로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입니다. 최근 기사에서 '네이버'와 '카카오'가 100.. 2021. 5. 21.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